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벌크 시황24

[드라이 벌크 시황] BDI, KOBC 해운 운임 지수_230406 운임 전망은? 단기적으로 큰 상승과 하락 움직임보다는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시장을 리드하는 모멘텀이 없는 분위기이다. 수요인 물동량을 상승시킬 만큼 경기 부양을 하는 나라(중국, 미국, 유럽)도 없고, 글로벌 무역은 미국/유럽 vs 중국/러시아로 점차 로컬화가 되는 분위기라 물동량 상승에 부정적이다. 벌크 화물인 각 원자재의 생산 및 공급도 수요에 충분히 대응 가능할 정도로 양호해 보인다. 중동의 라마단, 중국의 청명절, 대서양의 부활절 연휴들이 돌아가면서 상승 분위기를 누그러 뜨리고 있어, 상승세를 타지도 못하고 있다. 선사(선주)의 속내는? 계절적 성수기인 3분기부터는 상승하지 않을까 라는 막연한 기대감은 있지만, 상승에 대한 논리가 뚜렷하지는 않다. 일부 코로나로 폭등한 용선료에.. 2023. 4. 6.
[드라이 벌크 시황] BDI, KOBC 해운 운임 지수_230404 운임 전망은? 당분간 약보합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브라질 곡물 화물 제외하고는, 시장에 활발하게 나오는 화물이 없다. 게다가 중국의 청명절, 중동의 라마단, 대서양의 부활절 연휴로 활동성이 떨어진다. 선사(선주)의 속내는? 선주는 3월까지 올랐던 시황이 약세로 돌아서니 걱정이 된다. 그래도 전통적 성수기인 3분기에는 시황이 나아지지 않겠냐는 기대감이 있다. 선사는 시장에 화물이 귀하다 보니, 화주에게 연락이 잦아진다. 화물이 얼마나 있는지, 운임은 얼마면 되는지, 적극적으로 영업활동을 펼치고 있다. 화주의 대응 전략은? 선사가 점차 적극적으로 변하는 게 체감이 된다. 희망하는 운임에 최대한 대응하며 어떻게든 화물을 가져가려고 한다. 마침 시황이 내려가고 있으니, 선주를 설득해서 용선료를 낮추려고 하는 모.. 2023. 4. 4.
[드라이 벌크 시황] BDI, KOBC 해운 운임 지수_230403 운임 전망은? 전반적으로 혼조 속 약보합세 이어지고 있고, 방향을 주도하는 화물이나 이벤트가 없는 상황이라, 당분간 상승과 하락을 반복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시장에서 불어오는 훈풍이 위축된 실물 경제를 살린다면, 물동량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선사(선주)의 속내는? 화물이 고프다. 시황도 약보합 세니 화주에게 운임을 지원해 주면서 화물을 적극적으로 가져와야겠다. 그동안 연락이 뜸했던 화주한테 연락을 좀 해보자. 화주의 대응 전략은? 그동안 연락이 뜸했던 선사들한테서 오랜만에 연락이 온다. 안부를 물으며 화물 상황을 물어본다. 선사 옵션이 있다는 것을 내비치며, 운임 지원을 어디까지 해줄 수 있는지 확인해 보자. 시장 분위기는 어떤가? 혼조+보합세이다.*BDI, BCI, BSI, BHSI 운임지수 / .. 2023. 4. 3.
[드라이 벌크 시황] BDI, KOBC 해운 운임 지수_230331 시장 분위기는 어떤가? 혼조+보합세이다. BDI, BCI, BSI, BHSI 운임지수 / 출처: Baltic exchange KOBC dry index/ 출처: KOBC 왜 그런가? 시장에 화물이 전반적으로 살짝 부족하다. 한쪽에서 화물이 나오면 화물을 찾던 배들이 즉시 그쪽으로 이동하니, 특정 구간의 상승도 오래가지 않고 이내 약보합으로 돌아서는 모습을 보인다.선형별 마켓 동향 / 출처: KOBC 용선료 수준은? 전체적으로 약보합세이고, 케이프 F/H(프런트홀) 화물이 성약이 좀 되고 있다.KOBC 용선료 / 출처: KOBC 벙커료(VLSFO)는 어떤가? 3/29 기준 벙커료는 소폭 상승했다. 3/28 원유가 상승 덕분이나, 3/29 원유가 이틀간 급등에 대한 차익매물 출회로 하락하여 3/30 벙커는 .. 2023. 3. 31.
반응형